자유주의, 내셔널리즘, 국민국가의 부상
유럽은 반동의 시대에 접어들었지만, 프랑스 혁명의 유산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참정권 확대를 요구하는 자유주의와 인민의 자치를 주장하는 내셔널리즘이 온 유럽에 퍼졌던 것이죠. 빈 체제는 언론 검열이나 군대를 통해 수시로 이러한 요구를 억압했습니다. 결국 19세기 전반에 걸쳐 크고 작은 혁명과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었습니다.
자유주의는 지배세력의 개입에 맞서 정치-종교-경제적 자유를 표방하면서 출현한 역사적 운동이었습니다. 구체제에 대항해 인간의 이성과 합리를 추구한 계몽주의와 궤를 같이 하며 18-19세기에 영미권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죠. 자유주의의 핵심은 집단보다 개인이 더 중요하다는 믿음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라는 공동체도 개인의 대표들에 의해 구성되어야 했죠. 그리고 대표자들의 정당성은 투표를 통해 확립되어야 했습니다. 다만 어떤 개인에게까지 자유를 허락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자유주의자들마다 입장이 달랐습니다.
프랑스 혁명은 ‘모든 인민이 자유민이며 따라서 참정권을 지닌다’는 자유주의 중에서도 급진적인 입장을 지지했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인권선언문은 온 유럽에서 자유주의 운동에 불을 질렀죠. 하지만 혁명의 패배 이후 들어선 빈 체제에서 대부분의 국가는 선거권에 제한을 두었습니다. 보수주의자들은 모든 사람이 자유민인 것은 아니라고 말했죠. 돈과 교양이 있는 사람만이 자유로우며 투표권을 지닐 수 있다고요. 빈 체제에서 참정권을 지닌 자유민은 귀족들과 상층 부르주아지에 불과했습니다.
19세기에 일어났던 혁명들의 일차적인 목표는 참정권 확대였습니다. 프랑스의 7월 혁명(1830년)와 2월 혁명(1848년)을 시작으로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에서 봉기와 혁명이 일어났고 선거권의 기준이 점차 내려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빈 체제가 무너지고 입헌정부가 수립된 나라도 있었죠. 물론 다른 목표도 있었습니다. 특히 생필품의 가격, 임금, 노동시간 등 사회경제적인 문제들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졌어요. 하지만 혁명 세력의 구성이 다양했기 때문에 참정권 이외의 목표는 좌절되기 일쑤였습니다. 중하층 부르주아지, 화이트컬러 노동자, 농민, 산업노동자들은 저마다 다른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었고 쉽게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벨기에, 체코, 헝가리, 폴란드, 이탈리아 등 외부세력의 지배를 받고 있던 지역에서는 내셔널리즘과 자유주의가 결합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18세기 후반까지 내셔널리즘은 동질적인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는 공동체가 존재한다는 문화적 믿음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프랑스 혁명 이후 이러한 공동체, 즉 ‘네이션’이 바로 자유주의가 추구하는 ‘평등한 시민의 정치-사회적 공동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죠. 소속집단 내에서의 보편성을 추구한 내셔널리즘은 사회 전반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힘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통일이나 국가 건립 운동을 주도했던 19세기 초의 지식인들은 내셔널리즘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애를 썼죠. 이러한 자유주의와 내셔널리즘의 결합은 19세기 국민국가(nation-state)의 등장을 이끌어냈습니다. 이제 국가(state)는 지배계층의 소유물이 아니라 자유민과 네이션을 대표하는 정치적 구성체가 된 것입니다.
19세기 후반 유럽 국가들에서 어느 정도 참정권이 확대되면서 급진적인 변화의 흐름은 잦아들었습니다. 이때부터 내셔널리즘은 자유주의와 결별하고 배타적-전투적-인종주의적-제국주의적 양상을 띠게 됩니다. 반유대주의와 이민자에 대한 차별이 극심해진 것도 이때부터였죠. 지배세력은 내셔널리즘의 강화가 체제를 유지하는 데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1870년 이후 확대된 대중교육은 지역주의와 종교 대신 ‘훌륭한 시민’을 양성하고 민족적 충성심을 고양하는 데 주력했죠.
자유주의의 급진적 성격 역시 희석되었습니다. 아까 잠시 이야기했듯이 1848년 혁명이후 대중은 사회경제적 불만을 공공연하게 표출했어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빈곤, 질병, 실업 등의 문제가 심각해졌고 국가가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었죠. 하지만 개인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비판적으로 보는 자유주의는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잘 부응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서 국가의 전면적인 개입을 주장했던 사회주의 운동이 부상하게 된 것입니다. 앞으로 다룰 이야기들은 이와 같은 내셔널리즘과 자유주의의 한계에서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