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성과 합리의 발견: 17세기 과학혁명
‘눈먼 시계공’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오늘날 과학자들이 창조설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죠. 자연을 정말로 신이 설계했다면 그 신은 눈이 멀어 있을 거라는 일종의 비꼼입니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종교와 과학을 엄밀하게 분리합니다. 그런데 가끔은 이러한 확신이 과학의 역사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져옵니다. 예컨대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등 당대의 자연철학자들이 기독교 교회에 과학과 이성의 이름으로 저항했다는 설명은 사실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들은 신실한 기독교인이었습니다. 다만 신이 성서 말고도 다른 책을 썼다고 생각했어요. 바로 ‘자연’이었죠. 르네상스의 인문주의자들과 종교개혁가들이 저마다의 원전으로 돌아가려 했듯이 자연철학자들도 ‘자연=책’을 직접 읽으려 했습니다. 중세 말기,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해석의 다양성이 인정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종교개혁은 가톨릭 교회 중심의 일원적인 해석에서 벗어난 종교적 사유를 가능하게 해주었습니다. 또한,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쓰고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