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시계공’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오늘날 과학자들이 창조설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죠. 자연을 정말로 신이 설계했다면 그 신은 눈이 멀어 있을 거라는 일종의 비꼼입니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종교와 과학을 엄밀하게 분리합니다. 그런데 가끔은 이러한 확신이 과학의 역사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져옵니다. 예컨대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등 당대의 자연철학자들이 기독교 교회에 과학과 이성의 이름으로 저항했다는 설명은 사실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들은 신실한 기독교인이었습니다. 다만 신이 성서 말고도 다른 책을 썼다고 생각했어요. 바로 ‘자연’이었죠. 르네상스의 인문주의자들과 종교개혁가들이 저마다의 원전으로 돌아가려 했듯이 자연철학자들도 ‘자연=책’을 직접 읽으려 했습니다.

중세 말기,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해석의 다양성이 인정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종교개혁은 가톨릭 교회 중심의 일원적인 해석에서 벗어난 종교적 사유를 가능하게 해주었습니다. 또한, 계속된 전쟁과 사상적 혼란은 안정성에 대한 요구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데카르트가 모든 것을 회의함으로써 확실한 하나를 찾으려했던 것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겁니다. 여하튼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16, 17세기의 자연철학자들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방식으로 자연을 이해함으로써 흔들리지 않는 사상 체계를 만들고 싶어 했어요. 플라톤주의에 영향을 받았던 이들은 자연이 수학이라는 언어로 쓰여 있다고 믿었고, 동시에 자연의 대상물들이 신이 만들어낸 일종의 기계라고 생각했습니다. 신이 정교한 시계공처럼 자연을 설계했다는 표현도 이때부터 보편화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