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요약
- 문재인 전 대통령은 개인 SNS에 이 책에 대한 짧은 감상평을 남깁니다. "중국을 어떻게 볼 것이며, 우리 외교가 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다. 언론이 전하는 것이 언제나 진실은 아니다. 세상사를 언론의 눈이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는 눈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해준다."
- 현재 혐오의 감정은 한국 사회의 많은 문제의 근원을 중국으로부터 찾는 데에까지 나아가고 있습니다.
- 그렇다면 중국이 어디로 가야 한다고 말하기 전에 우리에게 중국은 어떤 의미일까요? 물론 '혐오'와 같은 선입견은 걷어내고 말이죠.
📃 한 장 읽기
- 냉전 시기 미국을 중심으로 '서방'의 세계체제는 '동구'의 공산권을 배제하는 체제였습니다. 더불어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국가' 간의 통합이 촉진되었고, 이 과정에서 러시아를 비롯한 중국이 적대국가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1970년대, '데탕트 국면'에서 미국의 국무장관인 헨리 키신저가 중국의 개혁·개방을 이끌어 냈습니다. 더 나아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미·중국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경제교류가 시작되면서 분위기가 역전되었다는 거죠.
- 하지만 미국은 곧 대규모 인구를 앞세운 중국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미국의 경제력을 위협하는 수준에 다다르자, 미국이 또다시 새로운 냉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중국을 전방위로 봉쇄하려고 하고 있다는 겁니다.
- 저자는 중국이 문제여서 미국과 중국이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중국봉쇄 전략 때문에 미국과 중국의 충돌이 벌어진다는 겁니다. 문제는 미국의 전략이라는 겁니다.
- 이제 “유럽과 미국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탈유럽중심주의’와 ‘탈식민주의’ 시각으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바라봐야 할 시점이라고 충고하고 있죠.
- 우리는 이제 “짱깨”라는 단어에 집중해 봐야 합니다. 더불어 이 용어의 역사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 1894년 청일전쟁 전 중국인을 혐오하지 않던 조선인들이 중국의 청일전쟁 패배 이후 중국인에 대한 인식을 달리했다는 겁니다. 일본 제국주의가 만들어낸 “중국인을 열등하고 미개한 국민”이라는 일종의 ‘프로파간다’ 때문이라는 겁니다.
- 이후 해방과 미군정의 통치, 그리고 한국전쟁에서의 ‘중공군 참전’, 마지막으로 반공주의 확산에 따라 중국에 대한 혐오감이 증폭되었습니다.
- 이러한 역사적 흐름에 말미암아, 기저에 깔려 있던 중국에 대한 혐오 감정이 중국의 급격한 부상과 ‘미중 충돌’의 가속화로 인해 더욱 커져만 간다는 말이죠. 이 혐오의 감정은 한국 사회의 많은 문제의 근원을 중국으로부터 찾는 데에까지 나아간다고 경고합니다.
- '무조건 중국이 나쁘다'는 말로 이어지죠. "중국발 미세먼지", "우한 바이러스", "중화패권주의"등의 용어들이 대표적입니다.
- 그렇다면 우리는 중국을 앞으로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우선 선입견을 걷어내고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관계를 살펴 보면서 판단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