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 전 7세기 경, 히말라 남쪽 기슭의 카필라 성에 왕자가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성주이자 석가족인 정반왕이었으며, 부인은 콜리야족 선각왕의 딸인 마야였죠. 두 사람은 중년이 다 되도록 아이를 낳지 못해 근심이 많았는데요. 그러던 중 마야 부인이 흰 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나서 임신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마야 부인은 당시 풍습에 따라 출산을 위해 친정으로 향했는데요. 가던 도중 룸비니 동산에서 탐스러운 무우수 나무를 향해 손을 뻗다가 산기를 느꼈다고 합니다. 그곳에서 태어난 아이는 부인의 겨드랑이로 나와 동쪽으로 일곱 걸음을 걷고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아당안지(天上天下唯我獨尊 三界皆苦我當安之)’라고 외쳤는데요. 이는 ‘하늘 위 하늘 아래 내가 가장 존귀하다. 온 세상이 괴로움이니 내가 이를 마땅히 편안케 하리라’라는 의미입니다. 정반왕은 그의 이름을 ‘목적을 달성한다’라는 뜻의 싯다르타라고 지었습니다. 하지만 마야 부인은 그를 나은 지 7일만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고, 이후 그는 이모인 마하프라자파티의 품에서 자라게 되었죠.
그리고 얼마 뒤, 정반왕은 예언자 아시타 성인에게 예언을 듣게 됩니다. 싯다르타가 만약 그대로 자라면 인도의 전설적인 성군인 전륜성왕이 될 것이며, 출가한다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된다는 것이었죠. 그는 아이를 왕으로 기르기 위해 싯다르타가 온종일 사치스럽고 화려한 궁중 생활을 누리게 했습니다. 계절별로 즐길 수 있는 궁전을 지었으며, 네 사람이 붙어 그를 목욕시켰죠. 머리 위로는 햇빛을 막을 차양이 따라다녔으며, 여름 내내 기녀가 줄지어 있는 있는 정전에 올라 멋대로 즐기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생활이 계속되면 될수록 싯다르타는 근심에 잠겼습니다. 바로 병들고, 늙고, 죽는 것에 대한 괴로움이었죠. 고민을 떨쳐버리지 못한 그는 결국 궁전을 떠나기로 결심했습니다. 29살이 되던 해, 그는 깊은 밤 중 하인과 함께 몰래 성을 빠져나왔습니다. 스스로 머리카락을 자르고 사냥꾼과 옷을 바꿔 입은 뒤, 자신이 가진 보석을 모두 주어 하인을 되돌려 보냈죠.
처음에 그는 여느 수행자들과 마찬가지로 혹독한 고행을 했습니다. 죽은 사람의 옷을 벗겨 몸을 가렸으며, 외양간으로 가 송아지 똥을 집어 먹었죠. 몸은 나날이 쇠약해졌고, 손으로 배를 누르면 등뼈가 닿을 정도로 말라버렸죠.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자리에서 일어나 강가로 가 몸을 씻었습니다. 음식도 조금 먹었죠. 함께 하던 다섯 명의 수행자마저 그릇된 행동으로 나아간다며 그를 버리고 갔는데요. 건강을 회복한 그는 아랑곳 않고 보리수 아래에 앉아 깊은 명상에 잠겼습니다. 그리고 7일째 되는 날 모든 이치가 환하게 드러남을 느꼈습니다. 35살이 되던 해, 그가 그토록 바라던 깨달음을 얻은 것이죠.
그는 깨달음을 얻고 난 뒤, 여러 나무 아래로 옮겨 다니며 5주간 해탈의 즐거움을 누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함께 고행하던 다섯 수행자를 찾아 깨달음을 전했죠. 처음엔 그의 뜻이 잘 전달되지 않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중 한 명인 교진여가 가르침을 알아 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수행자들도 깨달음을 얻어 그의 제자가 되었죠. 초전법륜(初轉法輪), 처음으로 가르침과 불교 교단의 수레바퀴가 구르기 시작한 겁니다.
이후 그는 45년간 설법과 교화를 이어갔습니다. 그리고 80살이 되던 해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그를 따르는 제자들에게 여러 유언을 남겼죠. 그리고 얼마 뒤 쿠시나가라의 숲에 이르러 열반에 들었습니다. 그의 마지막 말은 "슬퍼하지 마라. 내가 언제나 말하지 않았느냐. 사랑하는 모든 것은 곧 헤어지지 않으면 아니 되느니라. 제자들이여, 그대들에게 말하리라. 제행(諸行)은 필히 멸하여 없어지는 무상법(無常法)이니라. 그대들은 중단없이 정진하라. 이것이 나의 마지막 말이니라”였다고 하죠.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뒤, 다섯 제자에게 가장 먼저 가르친 것은 4제諦였습니다. 제란 ‘진리’를 뜻하는 말로, 4제는 괴로움을 소멸시켜 열반에 이르는 네 가지 진리를 의미하죠.
4제 중 첫 번째인 고제(苦諦)는 괴로움이라는 진리를 뜻합니다. 그는 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즉 몸色, 느낌受, 생각想, 의지行, 인식識을 5온(蘊)이라 불렀는데요. 이 5온에 집착이 번성하므로 괴로움이고, 집착을 일으키는 근원이므로 괴로움이며, 또한 여기에 집착하므로 괴로움이라 이야기했습니다.
두 번째는 집제(集諦)로 괴로움의 발생이라는 진리를 뜻합니다. 집이란 ‘발생’을 의미하는데요. 그는 갈애(渴愛), 즉 목이 말라 애타게 물을 찾는 것처럼 그치지 않는 욕망이 이러한 괴로움의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갈애가 일어날 때 바로 알아차리고 이를 내려놓아야 합니다. 이를 알아차리고 반복하는 것이 바로 집제의 핵심이죠.
세 번째 멸제(滅諦)는 고통의 소멸 또는 고통의 원인의 완전한 소멸에 관한 진리를 말합니다. 갈애와 아집 등이 완전히 소멸될 수 있음을 깨닫는 것인데요. 이러한 번뇌가 완전히 소멸된 상태를 열반(涅槃) 또는 해탈(解脫)이라 부릅니다.
마지막 도제(道諦)는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8가지 바른 길, 즉 8정도(正道)를 의미합니다. 8정도란 바르게 알기, 바르게 사유하기, 바르게 말하기, 바르게 행하기, 바르게 생활하기, 바르게 노력하기, 바르게 알아차리기, 바르게 집중하기를 말합니다. 이를 꾸준히 실행하면 열반에 이르고, 번뇌가 소멸하며, 아라한에 이르고, 5온에 집착하지 않게 되고, 평온에 이르게 되죠.
4제는 마치 병에 걸리고 치료 받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고제란 괴로움이란 병에 걸린 것에, 집제란 그 병의 원인에 걸린 것에 해당하며, 멸제는 병의 완치 상태를, 도제는 그 병의 치료법을 의미하죠.
붓다는 이외에도 괴로움이 일어나고 소멸하는 과정(무명, 행, 식, 명색, 육처,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을 밝힌 12연기(緣起), 열반에 장애가 되는 세 가지 번뇌(탐욕, 분노, 어리석음)를 뜻하는 3독(毒), 열반으로 가는 세 관문인 무상(無常)과 고(苦), 무아(無我), 열반으로 가는 세 가지 수행(계, 정학, 혜)을 말하는 3학(學), 열반에 이르기 위한 네 가지 바른 노력(단단, 율의단, 수호단, 수단)을 의미하는 4정단(正斷), 열반에 이르게 하는 다섯 가지 마음의 기능(신근, 정진근, 염근, 정근, 혜근)을 이르는 5근根, 몸과 느낌, 마음, 현상에 대한 알아차리기를 확립하는 4염처(念處),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염각지, 택법각지, 정진각지, 희각지, 제각지, 정각지, 사각지)를 의미하는 7각지(覺支),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자, 비, 희, 사)을 뜻하는 4무량심(無量心), 악을 방지하고 선을 쌓기 위한 규율인 계율(戒律) 등을 통해 사람들을 깨달음으로 이끌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