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과학혁명이 한창 진행되던 17세기에도 지식의 근원이 신에 있다는 믿음이 여전히 강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러면 언제부터 지식이 ‘인간이 이성의 힘으로 만들어낸 결과물’로 받아들여졌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에 좋은 자료가 있습니다. 르네상스 이후로 쏟아지는 새로운 지식들을 마주했던 유럽의 엘리트들은 지식을 분류하는 체계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이들의 소일거리 중 하나가 바로 ‘지식의 나무’를 그리는 것이었는데요. 지식을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하면서 전체적인 지적 세계의 지도를 작성하려 했던 것입니다. 여기서는 베이컨과 계몽주의자들이 그렸던 지식의 나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계몽주의자들의 작업이 왜 유럽이 이전의 구체제와 결별하고 혁명으로 나아가는 데 영향을 미쳤는지도 살펴봅시다.

17세기의 자연철학자들은 신의 말씀이 두 종류의 책에 적혀 있다고 믿었죠. 하나는 성서, 다른 하나는 자연이었어요. 베이컨이 그린 지식의 나무는 이 구도를 반영해 두 개의 큰 줄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첫 번째 줄기, 즉 ‘신의 학문’은 ‘신의 계시’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하느님이 내린 신호의 유형과 그것을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하위분류가 이어졌죠. 두 번째 줄기에는 ‘인간의 학문’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인간이 사용하는 힘의 종류(기억력, 상상력, 이성)에 따라 역사, 시, 철학 등의 대분류가 있고 그 아래에 하위학문이 위치했죠. 베이컨은 인간의 경험과 인식을 통한 지식의 축적을 이야기했고 자연철학에 큰 비중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신의 섭리와 교회의 교리 역시 중요한 지식으로 취급했습니다.